(급)망점에 대해...

(급)망점에 대해...

조경아 4 6,744
사진이미지를 포트샵에서 그레이로전환하여 필터효과 포스터 가장자리(poster edges)를 주고 오프시티값을 50%로 하여 봉투에 출력하려고 레이져프린트로 출력을 하려는데 망점이 올라 오지 않네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효과를 주지 아니한 이미지는 망점이 올라오는데... 

Comments

별마루
ps.
pixel은 컴퓨터 화면상의 점을 말하고 dot는 그 픽셀들이 output 되었을때 필림이나 종이위에 찍혀있는 점을 말합니다 
별마루
질문자분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망점이 있어야 인쇄가 가능합니다
망점출력은 eps모드로 레이저방식의 프린터나 필림출력기에서 가능합니다
출력을 보낼때 쿽에서는 선수를 지정하는 명령이 있습니다
인쇄할 용지와 사진등 이미지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선수를 입력하고
출력하시면 됩니다 

덧붙여서 말나온김에 맥으로 처음 인쇄물을 작업하시는 초보 디자이너나
학교나 학원에서 편집디자인을 배우는 학생분들을 위해 인쇄상식하나 말씀 드리고
가겠습니다^^; 다 아시는 분들은 그냥 패쓰하시고 모르시는 분들만 읽어보세요
 
망정은 dot라고 하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dpi는 dots per inch를 말합니다
1제곱 평방인치당 점의 갯수를 가르키는 단위입니다

우선 인쇄의 원리에 대해서 먼저 설명을 드려야 겠습니다
인쇄물을 루페(제판실에서 망점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하는 돋보기와 같은 원리의
장비)로 확대해서 보면 무수히 많은 점들이 찍혀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그 점들은 C,M,Y,K네가지 색상으로 각각의 일정한 각도로 찍혀 있습니다

초등학교 미술시간에 아마 색의 삼원색에 대해서 배웠을 겁니다
모든 색상은 세가지 원색으로 만들어진다는 삼원색이론....
삼원색은 빛의 삼원색이 있고 색의 삼원색(안료의 3원색)이 있습니다
인쇄에서 3원색은 마젠타(Magenta), 시안(Cyan), 옐로우(Yellow)입니다
이론상으론 이 세가지 원색으로 모든 색상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만
인쇄에서 이 세가지 삼원색으로 M100% + C100% + Y100%를 혼합하여도
100% 블랙을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
잉크제조 기술에서 완벽한 100% 순수한 Magenta, Cyan, Yellow잉크를
만들어 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BLACK잉크를 별도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인쇄에서는 어떻게 위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다영한 컬러를 표현해 낼까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릴때 우리는 세가지 원색을 적절한 비율로 섞어서 다른색을
만들어 냅니다 예를 들어 Yellow물감과 Magenta물감을 1:1로 섞어 red물감을 만들어 내고
Yellow물감 100%와 Magenta물감 50%를 섞어 주황물감을 만들어 냅니다
하지만 그림을 한장한장 그릴땐 이렇게 하여 색상을 표현하면 되지만
인쇄와 같이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똑같은 그림을 찍어 내기 위해서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 하겠죠 그래서 개발된 방법이 착시현상을 이용한 컬러 혼합법입니다

신인상주의(점묘파)에 대해서 다들 아실겁니다 점묘화법의 화가인 쇠라나 시냐크도
아실겁니다
이들은 점을 찍어 혼합하는 방식으로 색상을 표현한 화가들입니다
이러한 혼합방식을 병치혼합이라고 합니다
가까이서 보면 점을 찍어 놓았지만 멀리서 보면 그 점들이 섞여 하나의 단일색상으로
보이게 하는 착시를 이용한 혼합방식입니다

인쇄의 색상표현 방식도 바로 이 병치혼합방식을 이용한 것입니다
Yellow색점 100개와 Magenta색점 100개를 섞어서 찍어 놓고 멀리서 보면 red 즉 빨강으로
보이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원리는 컴퓨터가 그림을 화면에 표현할때 사용하는 단위인
픽셀(pixel)과 일맥상통합니다 pixel은 picture element을 줄여서 말하는 것으로
화소라고 합니다 우리가 화면해상도를 말할때 72dpi라고 말하는 것은 바로 위에서도
말한바와 같이 1제곱 평방인치당 점의 갯수가 72개 찍혀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300dpi는 점이 300개가 찍혀 있는 것입니다 이와같이 해상도가 높다는 것은
점의 갯수가 많다는걸 의미하며 그만큼 많은 수의 점으로 디테일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므로 이미지의 퀄리티가 높은 것입니다

여기서 pixel과 dot 즉 ppi와 dpi는 같은 말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pixel per inch나 dot per inch ...pixel은 점이고 점은 dot이니까요

이제 선수(LPI)에 대해서 말씀 드려야 겠군요 lpi는 Line per inch를 말합니다
1인치당 표현되는 행선의 수입니다
점이 모여서 선이 되고 선이 모여서 면이 되는 원리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고급카다록 인쇄시 200선으로 필림출력을 한다고 한다면 1인치당 200개의
선을 표현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라인 하나하나는 점들이 모여서 만듭니다
선수는 해상도와 비례하며 또한 종이 지질과도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포토샵에서 72dpi로 저장된 사진을 175선으로 필림출력을 한다면 그 이미지는 어떻게
인쇄될까요 1인치안에 72개 밖에 없는 점의 숫자로 1인치안에 175개의 선을 표현해야
하는 모순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엄청 엉성한 이미지가 인쇄 되겠죠
높은 선수로 인쇄를 할려면 당연히  dpi도 비례해서 높아야 합니다
보통 75선, 100선 인쇄는 150~200dpi로 133선,150선 인쇄는 200~300dpi로 175선,200선
인쇄는 300~400dpi로 해상도를 설정 해 줘야 무리없는 인쇄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앞부분에서 종이와의 상관관계도 말씀드렸는데 부연설명 드리자면....
종이의 표면 거칠기에 따라 쉽게 말씀드려 종이의 매끄러움정도에 따라 인쇄선수도
달라집니다
80~90년대까지만 해도 신문인쇄는 보통 75선으로 인쇄를 했습니다 신문용지로 사용하는
종이의 질이 낮아 잉크의 번짐현상으로 사진이 뭉쳐버리는(떡이되는)현상 때문에
최대한 점과 점의 사이를 넓게 해서 인쇄를 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요즘은 신문인쇄도 133선까지 가능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신문용지의 지질이
그만큼 좋아졌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모조지, 백상지 같은 경우는 100선, 133선 정도로 인쇄를 하고 있습니다
스노우화이트, 아트지 같은 경우 보통 175선, 200선까지 인쇄를 하고 있습니다
미술도록이나 예술품화보같은 고급인쇄물의 경우 수입지등 최고급 인쇄용지로
300선 그 이상의 선수로 인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외로 모조지에 175선으로 인쇄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모조지의 번짐효과를
살려서 인쇄하고자 의도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망점과 선수의 정보를 가진 컴퓨터상의 이미지를 CMYK 4판각각의 필림으로
출력을 하고 그 필림을 소부라는 공정을 통해 PS판(아연판)이라는 인쇄원판에 빛을 쏘여
부식시키는 방법(볼록인쇄)으로 필림의 망점정보를 그대로 인쇄원판에 옮겨내고 그 인쇄원판을
인쇄기에 걸어서 각각의 색판에 맞는 CMYK잉크를 묻혀 고속으로 찍어내면
각가의 색판에 해당하는 망점들이 중첩되지 않게 각도를 달리하여 찍혀 점의 갯수로 표현되는
혼합 비율에 따라 다양한 컬러를 표현 해 냅니다
 
대충 이러한 원리로 컴퓨터상의 이미지와 똑같은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는게 바로
매엽(옵셑)인쇄입니다 
 
두서없는 글입니다 잠도오고....ㅠㅠ
아주 기초적인 상식입니다 
그레이모드로 작업하신후에요 다시 CMYK모드로바꾸셔서
출력 내보낼때 선수를 75~90으로 해보심이~ 
조경아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맥 선배님들 앞으로도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모두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Banner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